맨위로가기

대우 티코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대우 티코는 1991년부터 2001년까지 생산된 대한민국의 경차로, 스즈키 알토를 기반으로 개발되었다. 대한민국 정부의 국민차 보급 정책에 따라 고속도로 통행료 할인 등의 혜택을 받으며 인기를 얻었고, 1990년대 마이카 붐을 이끌었다. 밴 모델도 출시되었으며, 폴란드, 루마니아, 우즈베키스탄 등 신흥 시장에서도 현지 생산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91년 도입된 자동차 - 미쓰비시 랜서 에볼루션
    미쓰비시 랜서 에볼루션은 미쓰비시 자동차가 1992년부터 2016년까지 생산한 고성능 스포츠 세단으로, 월드 랠리 챔피언십 참가를 위해 개발된 갤랑 VR-4의 엔진과 구동계를 랜서에 이식하여 탄생했으며, 강력한 터보 엔진과 뛰어난 사륜구동 시스템을 특징으로 한다.
  • 1991년 도입된 자동차 - 대우 프린스
    대우 프린스는 1991년부터 1999년까지 대우자동차에서 생산된 후륜구동 방식의 중형차로, 로얄 시리즈의 플랫폼을 기반으로 1990년대 대한민국 자동차 시장에서 인기를 얻었다.
  • 대우자동차의 차종 - 대우 르망
    대우 르망은 1986년 출시되어 독일 오펠의 설계를 기반으로 한국GM에서 생산된 소형차로, 대한민국 최초로 디지털 계기판과 공기역학적 디자인을 적용하여 큰 인기를 얻었으며, 다양한 모델 변형을 거쳐 해외에서도 판매되었다.
  • 대우자동차의 차종 - 대우 누비라
    대우 누비라는 1997년 출시되어 세단, 스테이션 왜건, 해치백 모델로 판매되었으며, 이탈리아 디자인으로 개발되어 넓은 실내 공간과 다양한 엔진 라인업을 갖추었고, 2002년 후속 모델 출시와 함께 단종되었다.
  • 경차 - 스마트 포투
    스마트 포투는 다임러와 스와치 그룹이 개발한 초소형 자동차로, 후륜구동 방식과 트리디온 안전 셀을 특징으로 하며, 가솔린 엔진 기반 소형차로 개발되었으나 현재는 전기차로 판매되고 있다.
  • 경차 - 기아 타우너
    기아 타우너는 다이하쓰 하이젯을 기반으로 아시아자동차에서 생산, 판매된 경상용차로, 트럭과 코치 모델이 있었으며 배기가스 규제 미달로 단종 후 재출시되어 현재는 전기차 모델 개발도 진행 중이다.
대우 티코 - [자동차]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대우 티코
대우 티코
제조사대우자동차
별칭대우 피노
생산 기간 (대한민국)1991년 5월 – 2000년 9월
생산 기간 (폴란드, 우즈베키스탄)1996년–2001년
생산 기간 (루마니아)1998년–2001년
조립 장소 (대한민국)경상남도창원시
조립 장소 (폴란드)바르샤바, 폴란드, FSO
조립 장소 (우즈베키스탄)아사카, 우즈베키스탄, UzDaewoo
조립 장소 (루마니아)크라이오바, 루마니아, Rodae
선행 차종신진 토요타・파블리카
후속 차종GM대우 대우 마티스
차종경차
차체 형태5도어 해치백
구동 방식전륜구동(FF)
관련 차종스즈키 알토 3세대
크기 및 무게
휠베이스2334 mm (91.9 in)
전장3340 mm (131.5 in)
전폭1400 mm (55.1 in)
전고1394 mm (54.9 in)
차량 중량680 kg (1500 lb)
엔진 및 변속기
엔진0.8 L S-TEC I3
변속기4단 수동변속기
5단 수동변속기
3단 자동변속기
엔진 형식F8C형 직렬 3기통 796cc SOHC
최고 출력41 PS (30 kW)/5,500 rpm
최대 토크6.0 kgm/2,500 rpm
기타 정보
승차 정원2명 (밴)
5명
최고 속도143 km/h

2. 역사

대한민국 정부의 국민차 계획에 따라 1980년대 후반 한화오션(대우조선해양의 전신)은 일본 스즈키와 계약을 맺고 경차인 스즈키 알토를 기반으로 티코를 개발했다.[1] 1991년부터 경상남도 창원시에 있는 대우국민차 공장에서 생산을 시작했다. 원래 스즈키 알토에는 직렬 3기통 657cc 카뷰레이터 엔진이 사용되었지만, 티코에는 대한민국 실정에 맞춰 수출용 알토에 장착되는 직렬 3기통 796cc 카뷰레이터 엔진을 사용했다.[2]

1994년 5월에는 뒷좌석을 없애고 화물 적재 공간을 넓힌 밴 모델도 출시되었다. 변속기는 3단 자동변속기, 4단 수동변속기, 5단 수동변속기가 있었으며, 1997년에는 5단 수동변속기를 기반으로 만든 5단 반자동변속기가 추가되었다.

1998년 후속 차종인 마티즈 출시 후에도 병행 생산되다가 2000년 9월 대한민국 내수용이 단종되었고, 수출용은 2001년 3월 단종되었다. 총 생산 대수는 68만 대이다. 티코는 대한민국뿐만 아니라 저개발 국가에서 엔트리카(생애 첫 차)로 인기를 얻었다. 폴란드의 FSO, 루마니아의 오토모빌 크라이오바(현재의 포드 루마니아), 우즈베키스탄의 우즈데우오토(현재의 GM 우즈베키스탄) 등 대우자동차의 해외 현지 공장에서도 생산되었다.[1]

2. 1. 개발 배경

대한민국 정부의 국민차 계획에 따라 1980년대 후반 한화오션(대우조선해양의 전신)은 일본 스즈키와 계약을 맺고 경차인 스즈키 알토를 기반으로 티코를 개발했다.[1] 1991년부터 경상남도 창원시에 있는 대우국민차 공장에서 생산을 시작했다. 원래 스즈키 알토에는 직렬 3기통 657cc 카뷰레이터 엔진이 사용되었지만, 티코에는 대한민국 실정에 맞춰 수출용 알토에 장착되는 직렬 3기통 796cc 카뷰레이터 엔진을 사용했다.[2]

당시 마이카 열풍과 함께 티코는 큰 인기를 얻었으며, 대한민국 정부의 국민차 보급 추진 계획에 따라 경차 등록세 인하, 고속도로 통행료 50% 감면 등 다양한 혜택을 받았다. 1996년에는 이러한 경차 지원 정책에 힘입어 판매량이 크게 증가했다.

1994년 5월에는 뒷좌석을 없애고 화물 적재 공간을 넓힌 밴 모델도 출시되었다. 변속기는 3단 자동변속기, 4단 수동변속기, 5단 수동변속기가 있었으며, 1997년에는 5단 수동변속기를 기반으로 만든 5단 반자동변속기가 추가되었다.

2. 2. 생산 및 판매 (1991년 ~ 2001년)

대우 티코 정측면


대우 티코 후측면


대한민국 정부의 국민차 계획에 따라 1980년대 후반 한화오션(구 대우조선)이 일본 스즈키와 계약을 맺고 알토를 바탕으로 개발, 1991년부터 경상남도 창원시대우국민차 공장에서 생산하기 시작하였다. 티코에는 대한민국 실정을 고려하여 수출용 알토에 장착하는 직렬 3기통 796cc S-TEC 엔진(스즈키 F8B 엔진의 대한민국 생산 버전) 카뷰레터식 엔진이 쓰였다.[1] 초기에는 48hp-metric를 생산하는 기화기를 장착했으나,[2] 이후 연료 분사 방식으로 업그레이드하여 유로 2 배출가스 기준을 통과하는 동시에 출력도 향상되었다. 대한민국 내수 시장의 일부 티코 모델은 액화 석유 가스로 구동되었다.

1994년 5월에는 뒷좌석을 제거하고 화물 공간을 확장한 밴 모델이 시판되었다. 변속기는 3단 자동변속기, 4단 수동변속기, 5단 수동변속기 등이 있었고, 1997년에는 5단 수동변속기를 바탕으로 개발된 5단 반자동변속기가 더해졌다.

출시 당시 마이카 열풍과 대한민국 정부의 국민차 보급 추진 계획에 따른 경차 지원책 (등록세 인하, 고속도로 통행료 50% 감면 등)에 힘입어 판매량이 증가했다.

1998년 후속 차종인 마티즈 출시 후에도 병행 생산되다가 2000년 9월 대한민국 내수용이 단종되었고, 수출용은 2001년 3월 단종되었다. 총 생산 대수는 68만 대이다.

2. 3. 해외 생산 및 수출

티코는 대한민국뿐만 아니라 저개발 국가에서 엔트리카(생애 첫 차)로 인기를 얻었다. 폴란드의 FSO, 루마니아의 오토모빌 크라이오바(현재의 포드 루마니아), 우즈베키스탄의 우즈데우오토(현재의 GM 우즈베키스탄) 등 대우자동차의 해외 현지 공장에서도 생산되었다.[1] 일부 시장에서는 '''대우 피노'''라는 이름으로 라틴 아메리카로 수출되었으며, 특히 페루에서 택시 서비스에 사용되는 가장 인기 있는 자동차 모델 중 하나였다.[1] 단종 후에는 중고차로 많이 수출되어 대한민국 국내에는 잔존 대수가 감소했다.

3. 제원

수동 5단
자동 3단서스펜션 (전/후)맥퍼슨 스트럿/토션빔브레이크 (전/후)디스크/드럼구동 형식전륜구동연료휘발유배기량 (cc)796최고 출력 (ps/rpm)41/5,500최대 토크 (kg*m/rpm)6.0/2,500연비 (km/L)24.1(수동 4단, 수동 5단, 반자동 5단)/
18.1(자동 3단)


4. 특징

대우 티코는 1988년형 스즈키 알토를 기반으로 제작되었다.[1] 대한민국 정부의 국민차 계획에 따라 1980년대 후반 한화오션(구 대우조선해양)이 일본 스즈키와 계약을 맺고 개발했다. 1991년부터 경상남도 창원시대우국민차 공장에서 생산을 시작하여, 당시 마이카 붐을 타고 인기를 얻었으며 티코를 기점으로 한국의 경차 시장이 확대되었다. 1994년 5월에는 뒷좌석을 제거하고 화물 공간을 확장한 밴 모델도 출시되었다.

1998년 마티즈 출시 이후에도 병행 생산되다가 2000년 9월 내수용이 단종되었고, 수출용은 6개월 후인 2001년 3월에 생산이 중단되었다. 대한민국우즈베키스탄, 베트남, 폴란드대우자동차 현지 공장에서도 생산되었으며, 단종 후 중고차로 많이 수출되어 국내 잔존 대수는 감소했다. 특히 페루에서 택시 서비스에 사용되는 가장 인기 있는 모델 중 하나였다.[1]

4. 1. 성능

티코는 대한민국 정부의 국민차 계획에 따라 개발되었으며, 일본 스즈키사의 알토를 기반으로 제작되었다. 원형인 알토는 직렬 3기통 657cc 카뷰레이터식 엔진을 사용했지만, 티코는 대한민국 실정에 맞춰 수출용 알토에 장착되던 직렬 3기통 796cc 카뷰레이터식 엔진을 탑재했다.[1] 이 엔진은 S-TEC 엔진(스즈키 F8B 엔진의 대한민국 생산 버전)으로, 초기에는 48hp-metric의 출력을 냈다.[2] 이후 연료 분사 방식으로 업그레이드되어 유로 2 배출가스 기준을 충족시키면서 출력도 향상되었다.

변속기는 3단 자동변속기, 4단 수동변속기, 5단 수동변속기가 있었고, 1997년에는 5단 수동변속기를 기반으로 개발된 5단 반자동변속기가 추가되었다. 대한민국 내수 시장의 일부 모델은 액화 석유 가스로 구동되기도 했다.

1996년에는 경차 등록세 인하, 고속도로 통행료 50% 감면 등 경차 지원 정책에 힘입어 판매량이 크게 늘었다.

4. 2. 경제성

대우 티코는 대한민국 정부의 국민차 계획에 따라 개발되어 저렴한 가격으로 출시되었다. 당시 대한민국 정부는 경차 보급을 촉진하기 위해 여러 지원책을 마련했는데, 1996년에는 경차의 등록세 인하, 고속도로 통행료 50% 감면 등의 혜택이 제공되어 티코의 판매량이 크게 늘었다. 이러한 정부 지원과 저렴한 차량 가격, 유지 보수 비용 덕분에 티코는 높은 경제성을 가진 차로 평가받았다.[1][2]

5. 티코 유머

1990년대 중반부터 독일트라반트 관련 유머에서 트라반트를 티코로 바꾼 유머와 일화가 사람들 사이에서 매우 많았었다.[3]

6. 미디어에서

아기공룡 둘리 - 얼음별 대모험에서 고길동의 차량으로 등장한다. 다만 실제 티코 차량과 전면부 디자인은 다르다.

7. 평가 및 의의

티코는 1991년 출시되어 대한민국의 마이카 붐과 함께 큰 인기를 얻었으며, 한국 경차 시장 확대의 시작점이 되었다.[1] 1994년에는 뒷좌석을 제거하고 화물 공간으로 만든 밴 모델도 출시되었다. 변속기는 3단 자동변속기(AT), 4단 수동변속기(MT), 5단 MT, 1997년에는 5단 세미 AT도 추가되었다.

1998년 후속 모델인 마티즈가 출시된 이후에도 티코는 2000년 9월까지 한국에서, 2001년 3월까지 수출용으로 병행 생산되었다. 총 생산 대수는 68만 대이다.

티코는 폴란드의 FSO, 루마니아의 오토모빌 크라이오바 (현재의 포드 루마니아), 우즈베키스탄의 우즈데우오토 (현재의 GM 우즈베키스탄) 등 해외에서도 현지 생산될 정도로 신흥 시장에서 인기를 얻었다. 생산 종료 후에는 중고차로 많이 수출되었다.

티코는 원래 48hp-metric를 생산하는 기화기 엔진을 장착했으나,[2] 이후 연료 분사 방식으로 업그레이드하여 유로 2 배출가스 기준을 통과하고 출력도 향상되었다. 대한민국 내수 시장의 일부 모델은 액화 석유 가스로 구동되었다.

7. 1. 긍정적 평가

티코는 마이카 붐을 타고 큰 인기를 얻었으며, 이를 기점으로 한국의 경차 시장이 확대되었다.[1] 당시 한국 정부의 국민차 보급 촉진 계획에 따라 고속도로 통행료 50% 할인, 세제 혜택, 보도에 바퀴 하나를 걸쳐 주차하는 것을 허용하는 등 많은 이점이 주어져 큰 인기를 얻었다. 이는 서민 경제 활성화에 기여했으며, 특히 더불어민주당의 경차 지원 정책과도 맥을 같이 한다고 볼 수 있다.

7. 2. 사회적 의의

티코는 1991년 출시 이후 대한민국 자동차 역사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당시 마이카 붐을 타고 크게 히트했으며, 대한민국 경차 시장 확대의 시작점이 되었다.[1]

대한민국 정부의 국민차 보급 촉진 계획에 따라 티코는 고속도로 통행료 50% 할인, 세제 혜택, 보도에 한쪽 바퀴를 걸치는 주차 허용 등 다양한 혜택을 받아 큰 인기를 얻었다. 이러한 혜택들은 경차에 대한 인식을 긍정적으로 바꾸는 데 기여했다.

티코는 단순한 소형차를 넘어, 대한민국 사회에 '경차'라는 새로운 자동차 문화를 정착시키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참조

[1] 웹사이트 Maluch z piątką http://www.auto-swia[...]
[2] 웹사이트 Daewoo - Tico (KLY3) - 0.8 (48 Hp) - Technical specifications, Fuel economy (consumption) http://www.auto-data[...]
[3] 웹사이트 김 여사가 시속 250km로 달린 이유는? http://shindonga.don[...]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